요즘 세계 경제가 어려워짐에 따라서 금값도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 적이 있고 유일하게 달러만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전 글에서 설명했던 '양적완화'를 기억하시나요?
미국이 무제한으로 양적완화를 하겠다고 공표를 했음에도 달러의 가치는 사그라들지 않고 오히려 상승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사람들, 국가들이 사용하는 달러, 달러는 어떻게 지금의 위상을 갖게 되었을까요?
달러는 처음 기축통화로 나선 이후 몇 번의 위기를 겪고 현재의 달러가 되었는데요.
오늘은 우선 달러가 처음 기축통화로 나서게 된 '브레튼우즈' 체제의 시작과 종말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합니다.
기축통화의 시작, 브레튼우즈 체제
달러의 위상이 처음 우뚝 선 것은 세계 2차대전 직후로부터 시작합니다.
1944년, 미국의 브레튼우즈라는 곳에 44개의 연합국 국가들이모여 전쟁 이후 세계의 방향에 대해 논하게 되었습니다.
통화라는 것은 우리가 물물교환을 지나 거래를 할 때 표준이 되는 '교환 수단'인데, 전쟁으로 인해 황폐화된 세계 각국의 통화들이 신뢰를 잃었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는 물물교환은 아니면서, 각 국의 통화도 아닌 교환을 원활하게 해줄 무언가가 필요합니다.
바로 오늘 처음에 잠깐 언급했던 '금'입니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힙니다.
안전 자산이란, 주가나 부동산처럼 가치가 변하는 것이 아닌 어느정도 일정수준의 위상을 지킬 수 있고, 위기가 발생했을 때도 흔들리지 않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전쟁으로 인해 각국의 통화를 신뢰할 수 없으니 '금'만이 믿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문제가 한 가지 있었는데, 교역을 하면서 '금'이 없어지면 더 이상 교환을 할 수 없게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금은 아무래도 거래에 있어서 불편합니다.
미국은 이때 금을 이용해서 한 가지 제안을 합니다. 금 1온스 당 35달러로 바꿔줄테니, 달러를 통해 교환하자는 것입니다.
즉, 다른 나라들이 35달러를 가져오면 언제든지 금으로 바꿔주겠으며, 모든 환율을 고정하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를 브레튼우즈 체제라고 하는데, 이 체제가 가능했던 이유는 전쟁 중에 계속해서 흑자를 냈던 미국이 당시 전 세계 금의 70%를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다른 나라들의 입장에선 달러를 통해 돈을 벌어들이면 이를 다시 금으로 바꿀 수 있으니 달러를 신뢰할 수 있었고, 거래를 하기에 달러라는 통화는 편하니 이 체제에 동의한 것입니다.
이렇게 달러는 기축통화가 되었습니다.
브레튼우즈 체제의 붕괴
브레튼우즈 체제를 한 번 정리해보면, "미국이 발권하는 달러를 기축통화로 거래를 한다. 단, 35달러 = 금 1온스"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요즘에는 모두 아시다시피 35달러가 금 1온스로 교환되지 않습니다. 또한 각국들의 환율은 시시각각 변하는 변동환율입니다.
다시 말해, 요즘에는 브레튼우즈 체제가 시행되고 있지 않습니다.
브레튼우즈 체제는 1971년 닉슨 대통령에 의해 붕괴되었는데, 더 이상 달러를 가져와도 금으로 교환해줄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금의 부족, 이 원인은 베트남 전쟁에 있습니다.
1960년대 당시 미국은 자본주의 국가의 선두로 나서며 전 세계의 국가들 중 많은 국가들을 자본주의 국가로 만들려고 했습니다.
그래야만 무역이 활발해지고 전체 시장의 크기도 늘어나서 경제적인 이익을 계속해서 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베트남의 사회주의 지도자였던 호치민에 의해 공산주의와 자본주의로 나누어져있던 베트남이 통일되려하자,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자본주의 국가의 승리로 만들고자 했습니다.
사회주의 국가가 많아지면 그만큼 자본주의국가들의 전체 시장의 크기가 감소하고, 미국의 이익도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우리나라도 자본주의 국가였기 때문에 베트남 전쟁에 우리나라 국군을 보냈다는 것을 많이들 알고 계실겁니다.
하지만 결론은 여러분들도 알다시피 전쟁은 사회주의 진영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그러나 그 과정 속에서 의도치 않은 장기간의 전쟁을 하게 된 미국은 막대한 전쟁비용을 소모했고 이에 따라 달러를 엄청나게 찍어냈습니다.
금은 고정되어있는데, 달러의 양이 늘어나면서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은 달러의 가치를 의심하기 시작합니다.
분명 35달러를 가져가면 금 1온스를 주기로 했는데, 달러가 이렇게 많이 찍혀져 나오는데 이만큼의 금이 있을까?하고 걱정을 하기 시작한 겁니다.
이에 따라 영국, 프랑스 등은 가지고 있던 많은 양의 달러를 가져와서 미국에게 금으로 교환해줄 것을 요구합니다. 실제로 프랑스는 무려 35억달러를 가져와 금을 가져갔습니다.
결국 닉슨 대통령은 브레튼우즈 체제의 종말을 선언하게 됩니다.
오늘은 브레튼 우즈체제의 시작과 종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오일쇼크로 인한 달러의 위기와 그를 극복한 과정에 대해서 다루어볼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상식과 지식 사이 > 경제,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투자] 해외 채권 투자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4.05 |
---|---|
[기축통화 달러] 오일쇼크로 인한 달러의 위기와 현재의 위상 (0) | 2020.04.04 |
미국의 양적완화 괜찮은 걸까? 유동성 공급문제 (0) | 2020.04.02 |
[양적완화, 재할인율, 지급준비율] 금융위기를 극복하려는 중앙은행들의 노력 (0) | 2020.04.01 |
[마이너스 금리] 계속되는 금리인하, 마이너스 금리? (0) | 2020.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