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상식과 지식 사이89

국가채무가 계속 되면 어떻게 될까? 모라토리엄 지난 글에서 재정적자, 국가채무와 관련된 내용들을 알아보았습니다. 국가가 돈이 부족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그러면 빚을 갚기 위해 계속해서 채권을 발행하면 어떨까요? 돈을 빌려서 빌린 돈을 갚는, 소위 말하는 '돌려막기'를 계속해서 구사하면 어떻게 될까요?이 방법에는 한계가 있는데, 채권을 반복해서 발행할 수록 이자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채권에서의 이자율은 채권금리라고 합니다. 채권의 발행에 따른 부작용국채를 계속 발행하게 되면, 계속해서 채권금리를 올려주어야 채권이 팔리게 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제품의 공급이 늘어나면 가격이 하락한다는 사실은 알고 계실 겁니다.그러나 채권의 경우에는, '내가 빌려주는 금액'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100만원 빌려.. 2020. 4. 12.
[국가채무, 재정적자] 정부의 예산 알아보기 얼마전 정부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추경을 검토하고 돈을 풀기 시작했습니다.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금리를 낮추는 등의 통화정책을 실시하고, 정부는 재난소득을 지원하는 등의 재정정책을 실시합니다.정부는 국가에서 세금을 걷어서 그 돈으로 국가를 운영하는데, 돈이 부족해지면 어떻게 할까요?지난 글에서 이 부분과 관련된 내용들을 다루면서 '추경'을 한다고 말씀드렸고, 주로 국고채를 발행해서 돈을 충당한다고까지 말씀드렸습니다. 추경을 하는 이유는 해당연도에 정한 예산이 국가를 운영하는 데에 있어 부족하기 때문인데, 정부는 어느정도의 예산을 운영하고 있을까요?올해 국회에서 확정된 내용에 따르면 약 512조라고 합니다. 2018년 기준으로는 약 428조 정도였는데, 2년이 지난 사이에 거의 1.. 2020. 4. 11.
[국가채무, 추경, 재정적자] 정부는 어떻게 돈을 구하나? 요즘 여러나라에서 바이러스 이슈를 극복하기 위해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사용하고 있는데, 경제뉴스를 보다보면 국차채무, 재정적자 등의 이야기가 나옵니다.정부는 보통 우리가 생각하기에 세금으로 국가를 운영한다고 알고 있는데, 요즘과 같이 돈이 많이 필요한 시기에는 그 돈을 어디서 구해올까요?'추경'이라는 말이 뉴스에서 많이 나오고 있는데, 정부의 주된 수입원은 무엇인지, 어디서 돈을 구해오는지 등에 대해서 알아볼까합니다. 정부의 예산운영 정부의 예산운영 방식은 일반적으로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 이렇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일반회계는 특별한 상황이 없을 때 일반적인 상황에서 사용하는 예산활동을 의미합니다. 정부가 예산을 짜서 국회에 넘겨주면, 국회는 이를 검토하고 예산을 확정합니다. 그러나 국회 내.. 2020. 4. 10.
국가에도 신용등급이 있다? 국가신용등급 가끔 뉴스를 보다보면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이 어떻다, 우리나라 기업의 신용등급이 어떻다 등의 소식을 접하곤 합니다.우리에게 신용등급이라고 하면 대출을 할 때 은행에서 받게되는 신용등급에 익숙한데요.그런데 국가에도 신용등급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국가신용등급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합니다. 신용등급이란?신용등급이란 전문 신용평가사에 의해 평가된 등급을 의미하는데, 국가나 기업 그리고 은행뿐만아니라 채권, 자산 등에 대해서도 신용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신용평가사들은 평가 대상에 따라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신용등급을 결정하는데, 예컨데 국가신용등급의 경우 외채 규모, GDP성장률, 경제상황 등의 대외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결정합니다.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신용평가사는 미국의 S&P(스탠다드앤드푸.. 2020. 4. 9.
세계 경제 이해하기 - 트럼프의 미중 무역전쟁, 환율전쟁 지난 글에서 국제수지와 경상수지, 자본수지를 다루면서 국가의 수출은 환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보았습니다.지난 몇 년간 세계 경제에서 가장 핫한 이슈 중 하나는 바로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었습니다. 미국의 대통령 트럼프는 자유무역으로 인해 미국이 피해를 보고 있어서, 이를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었습니다.앞선 글에서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와 자본수지 흑자를 다루면서, 미국이 상품의 수출/수입에서는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고 말씀드린 적 있었는데, 지난 글을 읽으신 분들이라면 기억하실 겁니다. 미국의 타겟, 중국미국은 대중 무역수지, 즉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가 2000년대 이후로 계속해서 적자가 크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무역수지란, 지난 시간에 말씀드린 경상수지의 일부분으로써 상품.. 2020.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