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상식과 지식 사이89

경기종합지수란 무엇일까? 선행, 동행, 후행지수 지난 글에서 연간 성장률을 활용하여 경기를 읽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연간 성장률 외에도, 경기종합지수를 통해서 경기 흐름을 읽을 수도 있습니다.오늘은 경제 뉴스 등에서 자주 나타나는 경기종합지수에 대해서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경기종합지수란 무엇일까?경기종합지수(Composite Index)라는 줄여서 CI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이 지수가 어떻게 변하는 지에 따라 경기의 흐름을 읽을 수 있게 됩니다.CI는 선행, 동행, 후행으로 3가지로 분류가 되고 여러가지 경제지표들 중에서 경기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들을 모아 지수로 종합한 것입니다.CI는 매월 발표되는데, 이 지수가 전월보다 상승하면 경기가 확장되고 있는 것이고 반대로 전월보다 하락하면 경기가 축소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020. 4. 28.
경기 흐름을 읽는 법 - GDP성장률과 경기 순환 최근 뉴스에서 우리나라의 1분기 성장률이 -1.4%를 기록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경기가 침체되면서 성장률이 음수를 기록하게 되었습니다.우리는 "경기가 너무 안 좋다"라는 말을 많이 하긴 하지만 경기가 어떤 상태가 좋은 것이고 나쁜 것인지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보려고 하면 조금 어렵게 느껴집니다.오늘은 이처럼 경기 흐름을 읽는 법, 경기가 좋은 상황인지 나쁜 상황인지 판단하는 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경기순환으로 경기 흐름 읽기경기순환(Business Cycle)을 통해 경기가 좋은지 나쁜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연간 GDP성장률이 +를 기록하면 경기가 좋다고 보고, 반대로 -를 기록하면 경기가 나쁘다고 판단합니다.그러나 연간 GDP성장률이 음수가.. 2020. 4. 27.
퇴직연금 이해하기 (개인연금X, 세액공제 O) 지난 글에서 개인이 노후와 미래를 위해서 준비하는 개인연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오늘은 근로자가 회사에서 퇴직을 했을 때 받을 수 있는 '퇴직금'을 활용한 퇴직연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퇴직금이란?퇴직금은 원래 퇴직 직전 3개월간 평균임금에 지금까지 일한 연수를 곱해 산출하게 됩니다.예컨데 퇴직 전 3개월 간 평균임금이 500만원이고 20년을 일했으면 1억원이 퇴직금이 됩니다.더 자세히 계산하는 방법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퇴직금과는 조금 다른 퇴직연금예전에는 이 퇴직금을 퇴직 시에 일시금으로 받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회사가 망해서 퇴직금을 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거나 이직을 하면서 받은 퇴직금을 바로 소진해버리면 국민들이 노후 준비를.. 2020. 4. 26.
개인연금 진짜 제대로 알기 (퇴직연금 X, 세액공제 O) 오늘은 연금과 관련해서 개인 연금(혹은 연금저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연금이라는 것은 결국 우리가 근로 소득이 차단되고 더 이상의 노동을 통한 수입이 없을 때, Passive Income을 만들어 두기 위해 미리미리 준비하는 것입니다.그러나, 요즘에는 연금과 관련한 상품들이 너무나도 많고 어디가서 상담을 받으면 무조건 보험부터 가입하라는 등의 '묻지마 추천'이 많습니다.직접 자세히 공부하고 알아보지 않으면 어느새 월 현금흐름이 감소하고 가처분 소득이 보험금으로 줄줄 샐 수 있습니다. 연금이라는 단어는 퇴직연금, 개인연금(연금저축), 연금보험 등과 같이 다양한 곳에서 쓰이기 때문에 그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셔야 하며, 이게 헷갈리면 뭣도 모르고 아무 상품이나 막 가입할 수 있습니다.위 3가지를 간.. 2020. 4. 25.
ETF 궁금증 해결 - 레버리지ETF 원리 지난 글에서 인버스 ETF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오늘은 시장 수익률의 2배를 추구하는 레버리지 ETF에 대해서 알아볼까합니다. 레버리지란 무엇일까?우선 레버리지 ETF에 대해서 이야기하기전에, '레버리지'라는 단어가 갖는 의미부터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레버리지(Leverage)란 지렛대라는 뜻으로,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이 투자에 적용된다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요?바로 '신용 혹은 대출'을 이용한 투자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레버리지라는 말을 투자에서 많이 쓰는 곳은 바로 부동산입니다.만약 10억짜리 집을 사는데 5억이 내 돈이고 5억을 대출을 받았다고 가정해보록 하겠습니다.집값이 2억이 올라 12억이 되었다면, 이 집을 팔았을 때 .. 2020.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