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0 [기축통화 달러] 브레튼우즈 체제 - 달러는 어떻게 전 세계에서 사용하게 되었나 요즘 세계 경제가 어려워짐에 따라서 금값도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 적이 있고 유일하게 달러만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이전 글에서 설명했던 '양적완화'를 기억하시나요? 미국이 무제한으로 양적완화를 하겠다고 공표를 했음에도 달러의 가치는 사그라들지 않고 오히려 상승하고 있습니다.전 세계 사람들, 국가들이 사용하는 달러, 달러는 어떻게 지금의 위상을 갖게 되었을까요? 달러는 처음 기축통화로 나선 이후 몇 번의 위기를 겪고 현재의 달러가 되었는데요. 오늘은 우선 달러가 처음 기축통화로 나서게 된 '브레튼우즈' 체제의 시작과 종말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합니다. 기축통화의 시작, 브레튼우즈 체제 달러의 위상이 처음 우뚝 선 것은 세계 2차대전 직후로부터 시작합니다. 1944년, 미국의 브레튼우즈라는 곳에 44개의 .. 2020. 4. 3. 미국의 양적완화 괜찮은 걸까? 유동성 공급문제 지난 글에서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중앙은행들의 노력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지급준비율 인하, 재할인율 인하 2개를 설명드리고 마지막으로 양적완화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마지막에 양적완화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돈을 찍어내서 공급하게 되면 돈의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짧게 언급했습니다.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조금 더 깊게 다루어볼까 합니다.구체적으로는, 미국의 무제한적인 양적완화가 가능한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미국의 양적완화, 언제 또 있었나2008년 금융위기에 관한 내용을 다룬 글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해 2008년 미국은 금융위기를 겪게 됩니다.이에 따라 연준은 2008년 12월 기준금리를 0%대로 내렸.. 2020. 4. 2. [양적완화, 재할인율, 지급준비율] 금융위기를 극복하려는 중앙은행들의 노력 바이러스로 인한 이슈로 인해 세계 경제가 많이 휘청이고 있습니다. 각 국가의 중앙은행들은 지금과 같은 일시적인 금융위기, 경제위기가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빠져들지 않도록 국제적인 노력을 함께할 것을 이야기했었습니다.경제 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위와 같은 중앙은행들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대표적으로 자주 나타나는 용어들은 아마 '지급준비율 인하' '재할인율 인하' '양적완화' 등이 있을 것입니다.오늘 글에서는 이 3개의 용어들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시작하기 전에, 이 3개의 용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돈을 풀어서 경기를 부양시키는 정책' 이라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정책들을 '통화정책'이라고 합니다. 시중에 돈을 많이 풀게해서 소비를 촉진하고 기업들도 이익을 볼 수 있.. 2020. 4. 1. [마이너스 금리] 계속되는 금리인하, 마이너스 금리? 경기가 계속해서 어려워지면서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일제히 금리를 인하했습니다.금리 인하뿐만 아니라, 각종 통화정책을 실시해서 침체되어가는 경기를 살리기 위해 돈을 마구마구 풀어대고 있습니다.일각에서는 이렇게 금리가 낮아지다가 '마이너스 금리'가 되는 것은 아니냐하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마이너스 금리, 생각해보신 적 있나요?쉽게 말해서 은행에 돈을 맡겨두면 오히려 내 돈이 일부 없어진다는 뜻입니다. 상상만해도 좀 섬뜩한데요. 그만큼 경기가 어렵기 때문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실시하는 특단의 조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정말 직접 돈을 보관하는 게 이익이 되는 날이 올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마이너스 금리는 이미 시행된 적 있습니다. 마이너스 금리, 실시된 적이 있다?마이너스 금리라는 것은 2016.. 2020. 4. 1. [미국 셰일가스] 유가하락, 상승과의 관계 요즘 유가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라면 "셰일가스", "텍사스" 에 대해서 이야기를 들어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도대체 셰일가스가 무엇인지, 가스인데 유가와는 무슨 관계인지, 감산결정, 증산결정은 무엇인지 등등 오늘은 유가와 관련이 깊은 이 "셰일가스"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셰일가스, 미국 경제의 구원투수셰일가스란, 모래와 진흙이 단단하게 굳어서 만들어진 셰일암석안에 존재하는 천연가스를 의미합니다. 이 셰일가스는 현재 북미와 중국에 가장 많이 매장되어 있고, 여러 지역에 매장된 양이 엄청나서 전 세계의 인구가 약 60년간 사용할 수 있을만큼 매장되어 있습니다. 셰일가스가 미국 경제의 구원투수로 나타난 것은 '조지 미첼'이라는 사람 때문입니다. 조지 미첼은 미국 텍사스에서 셰일가스를 추출하는 .. 2020. 3. 31.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