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0 [일본 버블경제] 아베의 3개의 화살, 아베노믹스 지난 글에서 일본의 장기불황이 시작된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급격한 환율하락으로 인해 ‘엔고 현상’이 나타나고 유동성을 통해 해결을 하고자 돈을 풀었으나 자산 버블이 시작되었습니다. 자산 버블로 인한 유동성 증가를 막기 위해 실시한 금리인상은 버블 붕괴를 가져오면서 일본은 경기침체를 겪기 시작합니다. 오늘은 경기 침체 이후 일본이 쉽게 불황에서 빠져나오지 못했던 이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즉, 일본의 경기불황 제 2탄입니다. 유동성 함정 버블이 붕괴되면서 경기는 급격히 침체되었고, 자산 가치의 하락으로 인해 빚이 많아진 사람들이 생겨나고 소비심리는 극도로 위축되었습니다. 금리에 대해 공부하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경기침체를 빠져나올 땐 금리를 다시 인하하게 됩니다. 일본 역시 경기침체를.. 2020. 3. 30. [일본 버블경제] 플라자 합의로 시작되었다 일본은 한때 gdp 세계 2위의 국가로서 미국 다음으로 강한 경제력을 가진 국가였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 경기 침체가 시작되어 소위 말하는 ‘잃어버린 20년’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세계 2위의 경제강국의 자리를 중국에게 내주게 되었습니다. 일본 경제가 급격한 침체를 겪게된 이유는 환율과 상당히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오늘 글 부터는 일본의 경제침체의 원인에 대해서 하나하나 알아볼까 합니다. 플라자 합의앞서 도입부에서 일본의 경기침체는 환율과 상당히 깊은 연관이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1985년, 미국은 일본에 대해서 상당한 무역적자를 겪고 있었습니다. 일본제품이 미국에 많이 들어오면서 무역적자가 크게 발생한 것인데, 당시 미국은 오일쇼크로 유가가 오르고 물가가 오르면서 경기가 침체하는 스태그플레.. 2020. 3. 29. [미국ETF, S&P500 ETF] 왜 미국 시장인가? 주가가 연이어 하락하면서, 너도나도 주식시장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 때가 가장 쌀테니까 얼른 사자! 하는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들리고 있는데요.제가 쓴 글을 몇개 읽어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직장인분들이라면 ETF만한 주식이 없다는 것을 알고 계실거라고 생각합니다.하루 종일 회사에서 일하고, 남은 시간을 쪼개 집에와서 주식 종목을 하나하나 분석하고 기업의 실적을 추적하기란 여간 쉬운일이 아닌데요.이렇기 때문에 주식시장 전체에 분산투자를 하는 ETF에 대해 많이 관심을 가지고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ETF를 사게 되면 '최소한' 시장수익률은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미국 주가지수(S&P500)을 추종하는 ETF를 사는게 (거의) 최선의 선택이 됩니다.(ETF가 무엇인지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잘 모.. 2020. 3. 27. 환율 상승에 따른 환율 안정을 위한 대책 - 외환보유고, 외국환평형기금 요즘 환율이 계속 오르면서 달러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환율과 주가, 환율과 금리의 관계는 다룬적이 있지만 환율 안정을 위해 어떤 조치들이 가능한지, 어떤 조치가 필요한지 등에 대해서는 다룬적이 없는 것 같은데요.오늘은 우리나라가 환율 안정을 위해 하고 있는 것들과 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 다루어볼까합니다. 외환보유고예전에 환율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IMF에 관한 이야기를 잠깐 한적 있었는데요. 외환보유고는 그때도 잠시 언급했던 내용입니다.외환보유고는 한국은행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써 우리나라가 '달러'와 같은 외화를 보관하는 곳입니다. 주로 해외에서 수출을 하는 기업들에 의해 외환보유고가 채워지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수출 등을 통해 외화를 벌어들이면, 우리나라는 달러를 기업.. 2020. 3. 26. GDP, 경제성장률 이해하기 (2) 지난 글에서 GDP, GNP, 경제성장률에 대해서 기본적인 개념을 말씀드렸습니다.이 내용들은 모두 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들이기 때문에 어딘가에서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경제성장률과 GDP에 관해서 조금 더 디테일한 부분을 다루어볼까하는데요.오늘 설명할 내용들을 알고 계신다면 나중에 경제기사 등을 읽으실 때 조금 더 이해가 잘 되실거라고 생각합니다. GDP는 달러로 계산된다.지난 글에서 GDP에 대한 설명을 하며 살짝 언급했던 부분입니다. GDP는 달러로 계산된다는 내용인데요. 이 때문에 환율이 어떤 상태이냐에 따라서 '명목 GDP'가 급격하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여기서 지난 번에 설명드렸던 명목 GDP에 대해 다시 한 번 짧게 언급하자면 '해당 연도의 물가를 반영하여 계산한 G.. 2020. 3. 25.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