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0 세계 경제 이해하기 - 트럼프의 미중 무역전쟁, 환율전쟁 지난 글에서 국제수지와 경상수지, 자본수지를 다루면서 국가의 수출은 환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보았습니다.지난 몇 년간 세계 경제에서 가장 핫한 이슈 중 하나는 바로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었습니다. 미국의 대통령 트럼프는 자유무역으로 인해 미국이 피해를 보고 있어서, 이를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었습니다.앞선 글에서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와 자본수지 흑자를 다루면서, 미국이 상품의 수출/수입에서는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고 말씀드린 적 있었는데, 지난 글을 읽으신 분들이라면 기억하실 겁니다. 미국의 타겟, 중국미국은 대중 무역수지, 즉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가 2000년대 이후로 계속해서 적자가 크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무역수지란, 지난 시간에 말씀드린 경상수지의 일부분으로써 상품.. 2020. 4. 8. 한국 경제 이해하기 - 자본수지란 무엇일까? 환율과의 관계 지난 시간에 국제수지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국제수지는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로 나누어진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위 두 가지 중에서 자본수지는 말씀드리지 않았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자본수지에 대해서 다룰까합니다. 자본수지, 자본이 핵심이다자본수지란 각종 투자를 통해 들어오고 나가는 외화를 계산한 것입니다.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투자를 하게 되면 달러를 들고 들어오는 것이므로 외화가 유입됩니다.그러나 최근 몇 주간 주식시장에서 외국인들이 계속해서 순매도를 하면서 자산을 팔고 달러를 가지고 돌아가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이처럼 외국인의 국내 투자금액이 감소하게 되면 외화가 유출되게 되는데, 이 때 자본수지가 움직이게 됩니다.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해외에 투자하게 되어도 외화가 유출됩니다. 자본수지가 중요한 이유는.. 2020. 4. 7. 한국 경제 이해하기 - 경상수지, 국제수지란 무엇일까 최근 바이러스 인슈로 인해 세계 경제가 한꺼번에 어려워지면서 우리나라도 큰 타격을 입고있습니다.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수출의존도가 매우 높은 나라이고 특히 중국과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습니다.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제를 평가하고 판단할 때는 주로 수출과 관련된 지표들을 많이 살펴보게됩니다.경제뉴스를 보다보면 이처럼 수출과 관련된 지표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우선 오늘은 가장 많이 나타나는 국제수지와 경상수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국제수지국제수지란 외국과의 거래를 통해 얼마만큼의 외화가 들어오고 나갔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국제수지가 흑자이다라는 말은 들어온 외화의 양이 나간 외화의 양보다 많다는 뜻이고 국제수지가 적자라면 나간 외화가 더 많다는 뜻이 됩니다. 외.. 2020. 4. 6. [채권투자] 해외 채권 투자에 대해 알아보자 지속적으로 주가가 하락하는 가운데 유일하게 달러만이 그 위상을 지키고 있습니다.지난 몇 개의 글에서 기축통화 달러의 위상에 대해서 알아보았었는데, 정작 달러에 투자하려면 어떻게 투자해야하는지 우리는 잘 모릅니다.이코노미스트 홍춘욱박사님께서는 예전의 한 유튜브 영상에서 "내가 30대로 돌아간다면, 달러를 사겠다"라고 이야기하신 적 있는데요.이 때 구체적으로 달러에 투자하는 법에 대해서 언급하셨던 방법 2가지가 달러 ETF와 외화예금입니다. 오늘은 달러 투자 대신, 외화예금을 조금 응용한 해외채권투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외화예금은 금리가 조금 낮은 편이기 때문에, 환차익을 고려하더라도 만족스럽지 않은 분들이 많습니다.이 때 외화예금의 다음 단계로써 생각할 수 있는 것이 해외채권투자입니다... 2020. 4. 5. [기축통화 달러] 오일쇼크로 인한 달러의 위기와 현재의 위상 지난 글에서 달러를 기축통화로 만들어준 '브레튼우즈 체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금과 달러의 고정비율 교환을 가능케한 브레튼우즈 체제 덕분에 '달러'는 전세계에서 사용하는 기축통화가 되었습니다.이후 베트남 전쟁에 미국이 참전하면서 막대한 전쟁비용으로 인해 달러에 위기가 찾아왔었다는 이야기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베트남 전쟁 이후 달러의 위기와 현재의 위상을 갖게 된 이유를 살펴볼까 합니다. 달러의 두 번째 위기, 1차 오일쇼크지난 글에서 설명했던 브레튼우즈 체제는 1971년 닉슨 대통령이 "이제 더 이상 달러를 가져와도 금을 줄 수 없다"라고 이야기하면서 붕괴되었습니다. 물론 이 부분은 베트남에서 사용했던 전쟁을 위한 비용 때문입니다. 그러나, 1973년 1차 오일쇼크가 터지면서 달러는 다시 위기를.. 2020. 4. 4.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