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가 계속해서 어려워지면서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일제히 금리를 인하했습니다.
금리 인하뿐만 아니라, 각종 통화정책을 실시해서 침체되어가는 경기를 살리기 위해 돈을 마구마구 풀어대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렇게 금리가 낮아지다가 '마이너스 금리'가 되는 것은 아니냐하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마이너스 금리, 생각해보신 적 있나요?
쉽게 말해서 은행에 돈을 맡겨두면 오히려 내 돈이 일부 없어진다는 뜻입니다.
상상만해도 좀 섬뜩한데요. 그만큼 경기가 어렵기 때문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실시하는 특단의 조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정말 직접 돈을 보관하는 게 이익이 되는 날이 올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마이너스 금리는 이미 시행된 적 있습니다.
마이너스 금리, 실시된 적이 있다?
마이너스 금리라는 것은 2016년 일본에서 처음 시도되었습니다. 16년 1월 일본의 중앙은행은 경기를 다시 부양시키기 위해 0%였던 기준금리를 더 낮추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정말 말그래도 '마이너스 금리' 시대가 된 것입니다. 일본은 제로금리를 1990년대부터 시작했는데, 이렇게해도 경기가 계속해서 살아나지 않자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게 됩니다.
일본은 경기 상승의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써 물가상승률을 사용했는데, 이 발표를 할 때 당시 미국의 물가상승률의 목표치는 2%였습니다.
즉, 이 정도의 물가상승률이 있으면 경기가 살아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물가상승률이 왜 경기상승의 지표일까?
물가상승률은 물가가 오르는 정도를 나타내는 비율이니 왠지 좋은 게 아닌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는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는 조짐으로 볼 수 있는데요. 마이너스 금리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전에 잠깐 언급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경기가 좋지 않을 때는 사람들이 일자리도 없고, 소비도 안하고, 기업들도 많은 이익을 보지 못합니다.
그런데 어느새 일자리를 가진 사람이 늘어나고, 직업을 갖게 된 사람들이 소비를 하고, 기업들의 이익은 늘어나게 됩니다.
수요가 늘어나면서 기업들은 공급량을 갖추기 위해 벌어들인 이익으로 투자와 설비를 늘립니다.
더 많은 이익, 더 많은 고용, 직업을 갖게 된 사람들의 새로운 소비 이렇게 순환되는 구조를 갖게 됩니다.
소비욕구, 혹은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물가는 조금씩 오르게 됩니다. 따라서 경기가 좋아지면서 순환을 계속하게 되면 물가가 오르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일본의 처참한 물가상승률
일본 역시 물가상승률의 목표치를 미국과 동일하게 2%로 잡았습니다.
양적완화, 재정 지출, 성장 전략 이렇게 3개의 화살을 담은 아베노믹스를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물가상승률은 2%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이에따라 결국 마이너스 금리를 시행하게 된 것 입니다. 시중에 돈을 풀고 유동성을 극도로 늘려 엔화의 가치를 떨어뜨리려고 한 것 입니다.
엔화가치가 하락하면 상대적으로 외국에서의 일본 물건의 가격이 저렴해지고 가격경쟁력이 생겨 수출이 증대될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도 유동성 공급에 의한 유동성 장세로 인해 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마이너스 금리 제도를 도입한 이후 엔화가치는 오히려 상승했습니다.
일본의 의도와 반대로 움직인 것인데요. 그 원인으로는 일본에 비해 다른 유럽이나 중국의 경제상황이 좋지 못해 해외자본이 오히려 일본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입니다.
해외 자본이 일본으로 유입되면, 자국의 통화를 팔고 엔화를 사려는 사람들이 많아져 엔화의 가치는 상승하게 됩니다.
엔화의 가치가 상승한다는 것은 엔화가 평가절상된다는 뜻이고, 이에 따라 환율이 하락하면서 수출이 어려워집니다.
이 흐름은 금리나 환율에 대해서 다룬 글에서 자주 언급한 부분이니 이해가 쉬우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일본의 미래, 어떻게 될까
2017년 엔화가치는 드디어 하락세에 접어들었습니다. 마이너스 금리의 효과가 이제서야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듯 합니다.
일본의 주가지수인 니케이 지수 역시 2017년 급등하면서 엔저현상과 유동성으로 인한 주가 상승도 이루어냈습니다.
그러나, 일본의 경기는 아직 완전히 회복되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바로 물가상승률 2%에 아직 한참 못미치는 수준이기 때문인데요.
아직 일본이 기뻐하기에는 조금 이른 것 같습니다.
일본의 경제는 지난 글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고령화와 같은 문제도 함께 담고 있어 다양한 해결책이 요구됩니다.
오늘은 마이너스금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얼마 전 기준금리로 인해 은행들의 예적금금리가 많이 낮아진 것을 확인하셨을 텐데요.
직장인 분들에게 참 안타까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상식과 지식 사이 > 경제,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양적완화 괜찮은 걸까? 유동성 공급문제 (0) | 2020.04.02 |
---|---|
[양적완화, 재할인율, 지급준비율] 금융위기를 극복하려는 중앙은행들의 노력 (0) | 2020.04.01 |
[미국 셰일가스] 유가하락, 상승과의 관계 (4) | 2020.03.31 |
[일본 버블경제] 아베의 3개의 화살, 아베노믹스 (0) | 2020.03.30 |
[일본 버블경제] 플라자 합의로 시작되었다 (0) | 2020.03.29 |
댓글